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활형 숙박시설 용도변경 유예 종료 임박! 2025년 11월부터 이행강제금 부과

by 서울칼잡이 2025. 10. 4.

생활형 숙박시설(레지던스)을 주거용으로 불법 사용한 경우에 대한 정부의 단속 유예 기간이 2025년 10월로 최종 종료됩니다. 이에 따라 2025년 11월부터 미신고 물량에 대해 매년 공시가격의 10%에 달하는 이행강제금이 부과될 예정입니다. 정부가 세 차례에 걸쳐 3년 이상 단속을 유예하며 숨통을 틔워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준공 완료 호실의 약 28%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어 대규모 이행강제금 부과 사태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예) 공시가격 5천만원일 경우, 1년에 이행강제금 5백만원

1. 문제의 배경 및 정부의 조치

 ●  도입 취지 : 2012년 숙박시설 확충을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  투기 대상 전락 :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고 전매 제한이 없어 상당수가 주거용으로 불법 전용되며 부동산 투기 대상으로 지적되었습니다.
 ●  정부 조치 : 불법 전용에 대한 단속을 예고하고, 기한 내에 숙박업 신고 또는 오피스텔 용도변경 신청을 하도록 했습니다.
 ●  단속 유예 : 정부는 3차례에 걸쳐 3년 이상 단속을 유예했으며, 그 유예 기간이 2025년 10월 말로 종료됩니다.

2. 소유주들의 현황과 어려움

 ●  미신고 비율 : 단속 유예 기간이 끝나가지만, 준공 완료된 호실의 약 28%가 숙박업 신고나 오피스텔 용도변경 신청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  어려움의 원인
    * 추가 비용 부담 : 오피스텔 전환 시 주차장 추가 확보, 기부채납 등 큰 비용 부담이 발생합니다. 정부가 주차장 요건 등을 완화했지만, 소유주들에게는 여전히 가장 큰 한계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지자체 불허 : 오피스텔 용도변경을 신청해도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안 된다'며 불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향후 전망

 ●  소유주 입장 : 소유주 협회 등에서는 추가 유예를 계속 요구하고 있습니다.
 ●  정부 입장 : 정부는 원칙대로 다음 달부터 미신고 물량에 대한 현장 점검을 진행할 방침입니다.
 ●  전문가 의견 : 선의의 수분양자를 보호해야 하지만, 동시에 규제 완화가 악용될 소지도 막아야 하므로, 앞으로 주거 시설 관련 정책은 사각지대가 없도록 꼼꼼하고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